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23년 농사를 마치며
    사노라면 2024. 1. 4. 12:47

    올 농사를 돌아보니, 무엇보다도 열매 채소들의 활약이 가장 컸던 것 같다.

    올해는 밭 꾸미기도 제대로 한 것 같지가 않고 듬성듬성 성의 없게 한 것 같은데, 호박, 가지, 오이가 아주 잘 되어서 텃밭 이웃들하고 나눠 먹을 수 있었다. 호박 모종은 매장에서 산 것도 있었고, 집에서 생긴 씨앗이 화분에서 자연 발아를 하여 옮겨 심은 것도 있었다. 그것이 단호박이었다. 크기는 작고  5개 정도 열렸는데, 나에게는 기적 같은 일이었다. 물론 5개가 모두 잘 익은 것은 아니었다. 비가 많이 오면 습해서 썩기도 했고, 땅에 닿아 썩어 문드러지기도 했다. 그래도 첫 열매는 하둥이 먹이라고 줄 수 있을 정도로 잘 여물었다.

    단호박 먹은 씨가 저절로 자라서 이런 열매를 맺다니, 기적 같다

    그리고 애호박 모종을 심었는데 참 예쁘게도 열었다. 두세 개가 조로롱 열리고 먹기 알맞을 정도로 익으면 더 예쁜 것은 하둥이네로 갔다. 애호박도 늦가을까지 열었다. 모두가 감탄스러웠다.

    이렇게 예쁜 호박 보셨나요?
    턱을 괴고 무슨 생각 하시나요 호박님
    도시농부가 받는 선물
    담을 그릇이없을 때는 이렇게도 ㅋㅋ
    오이와 치커리
    휴양림 갔다 바로 밭으로 와서 감자를 캤다. 많이 주셨다
    상추도 다 못 먹고 그림 동호회원들과 나눠 먹었다
    햇살 듬뿍 다다기오이
    노각의 연륜이 느껴진다
    올해는 참외를 처음으로 심어봤다. 10개 정도 성과가 있었다. 맛있게 먹었다

    그래서 아기들 이유식에 호박과 가지가 많이 들어갔다. 우리 먹을 게 있는데도 또 딸 때가 되면 아랫밭, 옆밭 이웃들에게 나눠졌다. 오이는  노각을 4그루 심었더니, 여름내내 노각 무침을 먹을 수 있었다. 노각을 한꺼번에 많이 따게 되면 노각 김치를 담가 놓고 2주를 먹을 때도 있었다. 오이가 잘 안 연다는 아랫밭 이웃에게 드렸더니 아주 좋아하셨다. 노각은 처음 달릴 때부터 예쁘고 날렵한 다다기 오이에 비해 처음부터 생긴 게 뭉툭하고 타원형 비슷하게 자란다. 색도 다다기 오이는 연초록색인데 노각은 짙은 초록색이다. 그러다가 몸체가 커지고 표면에는 그물같은 줄이 생긴다. 그러면서 노각의 본연의 색이 되는데 갈색 종류가 된다. 그러면 길이가 20~30cm정도로 커지고 더 커지는 것도 있다. 오이가 무거워서 오이 덩굴은 자꾸만 아래로 쳐진다. 오이 두세 개만 따도 무겁다.  오이가 제일 먼저 걷히고 그 자리에 배추를 심었다. 9월이 되자 가지도 걷고 김장거리를 심어야 하나 고민하는데 가지를 뽑을 수가 없는 게, 자꾸 꽃이 피고 열매를 달고 있는 것이라서 그냥 두었더니, 서리가 올 때까지 열었다. 물론 전성기처럼 매끈하고 잘 생기지는 않았지만 일하다가 간식으로 따 먹을 정도는 되었다. 어쩌면 이렇게도 많이 주실까. 정말 고마운 것들이었다. 그에 비해 고추는 일찍 탄저병에 걸려 시들었고, 작년에 비해 방울토마토도 일찍 끝났다. 배추는 내가 텃밭을 한 이래도 가장 연하게, 가장 튼실하게 자랐다.

    배추 농사 이래로 가장 잘 된
    대파 모종을 봄에 심어서 가을까지 한 개도 뽑아 먹지 않고 길렀다
    여기 저기서 달래만 보면 캐다가 심었더니 이렇게 무성해졌다
    밭에서 가져와서 절이고 씻고 속 넣는 일이 매우 고된 일이다.
    무채는 남편이 도와 줬다. 멸치 액젓, 새우젓으로 간하였다
    방치된 밭에 있는 금잔화를 옮겨 심었더니 이렇게도 예쁘게 늦가을까지 피었다.

    그 이유가 뭘까 생각해보니 퇴비론자인 남편 덕분인 것 같다. 가을 농사 시작 전에 퇴비 두 푸대를 마음껏 뿌려 준 결과인 것 같다. 따지고 보면 나는 심고 가꾸는 일을 하고, 땅을 파고 이랑을 만들고, 지지대를 박아주고 잡아 매주는 것은 남편이 다 했다. 남편이 도와주지 않으면 나 혼자는 할 수 없는 것들이 많다. 올해의 텃밭을 생각만 해도 흐뭇하고 풍요롭다. 고마운 한 해였다.

    빈 밭에 놀러갔더니 이런 선물을 주신다. 냉이향 느껴지시나요?

     

    '사노라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국 문학기행  (0) 2024.02.13
    세상에서 젤 맛있었던 개똥참외  (0) 2024.02.10
    우울한 주말 2022. 10. 08 토요일 맑음  (0) 2022.10.08
    아침 운동을 하며  (0) 2022.07.27
    엄마의 텃밭  (0) 2021.12.03
Designed by Tistory.